티스토리

명월 일지
검색하기

블로그 홈

명월 일지

nowonbun.tistory.com/m

개발은 언제나 즐겁다._*)~_

구독자
49
방명록 방문하기
공지 명월 일지를 다시 시작하며 모두보기

주요 글 목록

  • [Java] 64. String boot와 React를 연결하는 방법(Build 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String boot와 React를 연결하는 방법(Build 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최근에 프로젝트 트랜드는 프론트엔드와 서버사이드를 구분해서 많이 작업들 합니다. 사실 이렇게 분업해서 작업하는 스타일이 꽤 오래전부터 하였는데 제가 상당히 늦은 감이 있네요. 저는 최근까지 Javascript와 Jquery를 사용해서 화면과 프로그램을 작성했습니다. 프로젝트를 혼자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이런 상황이 솔직히 크게 불편하지는 않았습니다. Jquery로도 충분히 SPA(Single page application)를 구현을 했고 제가 느끼기에 크게 느리다고 생각도 들지도 않았습니다. 그런데 Jquery에서 React를 이동해야 겠다라고 생각을 한 것이 하나는 라이브러리들이 .. 공감수 6 댓글수 0 2022. 3. 25.
  • [Java] 62. Spring boot에서 Web-Filter를 설정하는 방법(Spring Security)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Java의 Spring boot에서 Web-Filter를 설정하는 방법(Spring Security)에 대한 글입니다. 저도 사실 Spring Security에 대해서는 자세히 모릅니다. 관련 사양서와 도큐멘트를 봤는데도 양도 엄청나고 전부 활용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도 있습니다. 단지 「브라우저로부터 요청(Request)가 있을 때, Controller에서 처리가 되기 전에 Filter로써 호출이 되는 것」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Web Framework 시절에도 그냥 세션 확인해서 User 인스턴스가 있으면 인증이고 아니면 인증 실패 정도로 설정한 게 전부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Spring boot를 전체적으로 정리하는 중에 있어서 Web-Filter.. 공감수 2 댓글수 2 2022. 3. 15.
  • [Java] 61. Spring boot에서 Redi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세션 클러스터링 설정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Spring boot에서 Redi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세션 클러스터링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이전 글에서 Apache와 Spring boot의 Tomcat을 연결하여 로드벨런싱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링크 - [Java] 60. Spring boot에서 Apache 연결과 로드벨런싱을 설정하는 방법 로드벨런싱은 일단 웹 환경에서 많은 트래픽(접속)이 발생하면 웹 서버도 브라우져(클라이언트)와 소켓 통신을 하는 커넥션이 있는 리소스이기 때문에 동시에 발생하면 그 접속과 응답이 느려질 수 밖에 없습니다. 또 웹 서버 환경에 요청하는 처리가 복잡하면 복잡해 질수록 더더욱 느려집니다. 그래서 접속 캐싱은 Apache에서 관리하고, 동적 웹 처리(Html 파.. 공감수 9 댓글수 1 2022. 3. 1.
  • [Java] 60. Spring boot에서 Apache 연결과 로드벨런싱을 설정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Spring boot에서 Apache 연결과 로드벨런싱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Spring boot에서는 Tomcat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바로 빌드하고 배포해도 웹 서버가 생성이 됩니다. 즉, 복잡한 Tomcat 설정이 필요가 없습니다. 이 웹이라는 것은 브라우저에서 요청과 응답 처리로 접속부터 처리 파싱까지 여러가지 처리가 있습니다. 그런데 트래픽(접속자)가 많아지면 Tomcat 하나로 서버가 버틸 수가 없기 때문에 Apache와 Tomcat으로 분할하여 역할을 나눕니다. 역할이라는 것은 브라우저의 요청과 응답 처리와 여러가지 프로토콜 처리를 Apache에 맡가고 Tomcat은 Html 파싱과 세션 관리의 역할을 맡습니다. 그래서 Apache 서버와 To.. 공감수 2 댓글수 3 2022. 2. 28.
  • [Java] 59. Spring boot의 JPA에서 EntityManager를 사용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Spring boot의 JPA에서 EntityManager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이전 글에서 Spring boot framework 환경에서 JPA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링크 - [Java] 58. Eclipse에서 Spring boot의 JPA를 설정하는 방법 그런데 문제가 Jpa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아서 쓴다는 것입니다. JpaRepository 인터페이스 자체가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보다 쉽게 접근하고 트랜잭션을 자동으로 처리해 준다는 점은 매우 편한 부분입니다. 그러나 이 자동으로 처리하는 게 문제가 있습니다. 자동이라는 점은 초기 접근에 매우 좋지만 결국에는 트랜젹선을 컨트럴하는데.. 공감수 4 댓글수 0 2022. 2. 25.
  • [Java] 58. Eclipse에서 Spring boot의 JPA를 설정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Eclipse에서 Spring boot의 JPA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Spring Web Framework 환경에서 JPA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링크 - [Java] 45. JPA 설정하는 방법 기본적인 설정은 Spring Web Framework 환경에서 설정하는 것과 같습니다. 다른 점이 있다면 Spring Web Framework는 persistence.xml에서 접속 환경을 설정하고 Spring boot는 application.properties에서 설정을 하게 됩니다. Spring boot는 환경 설정 파일이 하나로 통합이 되니 관리하기 편하네요. 먼저 JPA를 연결하기 위해서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테스트 테이블을 작성합시다.. 공감수 2 댓글수 2 2022. 2. 23.
  • [Java] 57. Eclipse에서 Spring boot를 설정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Eclipse에서 Spring boot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최근에 제가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프레임워크를 Spring Web framework에서 Spring boot로 갈아탔습니다. Spring boot가 편하다는 건 이전부터 알고는 있었는데. 개인적으로 무언가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여러 가지 있지만, 그 중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디서 에러가 발생하는지 명확하게 알기가 힘들다는 게 가장 큰 이유이겠네요. 그래서 저는 일부터 열까지 제가 한 땀 한 땀 설정하고 작성하는 것을 좋아합니다.(「프로그램은 자동으로 처리해 주는 것이 절대 없다! 분명 어딘가에서 처리를 했기 때문이다.」라는 주의입니다. 즉, 버그도 어딘가에서 잘.. 공감수 3 댓글수 1 2022. 2. 22.
  • [Java] 56. Web service의 Servlet에서 초기화 작업(properties 설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Web service의 Servlet에서 초기화 작업(properties 설정)에 대한 글입니다. Web service 프로그램을 만들면, 서버가 기동할 때 초기화 작업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마스터 테이블의 데이터를 미리 인스턴스 생성을 해서 메모리에 할당을 한다던가, 서버의 실행 디렉토리 설정등등이 있습니다. 먼저 우리가 Web service에서 ORM을 JPA로 사용할 경우 최초 Connection 초기화가 필요합니다. package controller;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javax.servl..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7. 2.
  • [Java] 55. Spring framework에서 문자 깨짐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Encoding 설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Spring framework에서 문자 깨짐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Encoding 설정)에 대한 글입니다. Eclipse에서 기본적으로 우리가 프로그램을 만들 때, 기본적으로 문서의 문자 코드를 설정합니다. 위 예제는 java파일과 jsp 파일에 설정한 문자 코드입니다만, 그 외에 xml 파일이라던가 properties 파일 파일에도 우리는 기본적으로 UTF-8를 설정합니다. 이러한 것들은 파일에 대한 문자 코드이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에 대한 문자 코드는 아닙니다. 즉, 브라우저에서 요청이 오면 그 안에는 요청 해더 값이 있고 이 헤더 값은 어느 문자 코드인지 지정해야 합니다. 또 브라우저에서 요청이 온 것을 다시 controller의 값과 view의 데이터를 ..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6. 30.
  • [Java] 54. Spring framework에서 Web filter를 사용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Spring framework에서 Web filter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우리가 웹 서비스를 작성하다 보면 세션을 관리던가 메모리 관리등의 브라우저에서의 요청에 대한 전체적인 관리 및 설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그인을 한 후에 그 이후에 서버 측에서는 유저의 세션이 유지가 되어 있는지 확인을 해야합니다. 유저의 세션이 유지되어 있으면 로그인을 한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당연하지만 세션이 유지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페이지에서 빠져나와 로그인을 요구해야 합니다. ※ 참고로 세션 값이란 서버 측에서 관리하는 데이터인데, 그 여부는 브라우저의 쿠키 값에 세션 키를 넣어 브라우저의 쿠키 값이 초기화 또는 만료가 되지 않는 이상 서버에서는 그 키로.. 공감수 2 댓글수 0 2021. 6. 29.
  • [Java] 53. 웹 서비스(Web service)에서 에러페이지 처리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웹 서비스(Web service)에서 에러페이지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기본적은 웹 프로젝트를 설정하는 것은 이전 글에서 설명이 끝났습니다. 웹 서비스 프레임 워크인 Spring framwork를 설정하는 방법부터 데이터베이스 의ORM(Object reference mapping)인 JPA 설정까지 입니다.즉, 실제적으로 클라이언트(브라우저)가 서버로 접속을 해서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고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서 표시하는 html을 파싱하는 작업까지 입니다. 여기까지 설정을 하고 프로젝트를 작성해도 웹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는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조금 디테일적인 작업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에러가 발생했을 때 에러페이지를 표시하는 작업과 ..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6. 25.
  • [Java] 52.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DAO를 Factory Pattern으로 의존성 주입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DAO를 Factory method Pattern으로 의존성 주입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이전 글에서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JPA ORM의 DAO를 @Autowired의 어트리뷰트를 사용해서 의존성 주입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link - [Java] 51.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JPA 사용법(의존성 주입 @Autowired) Spring Controller에서는 DAO를 취득해서 JPA ORM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취득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Spring Controller이 아닌 클래스에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물론 일반 클래스에서 그냥 DAO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new)해서 사용해도 문..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6. 24.
  • [Java] 51.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JPA 사용법(의존성 주입 @Autowired)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JPA 사용법(의존성 주입 @Autowired)에 대한 글입니다. 이전 글에서 JPA ORM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것을 DAO 클래스를 작성해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링크 - [Java] 50. JPA 프로젝트에서 DAO 클래스 작성하기 이것을 이제 Spring 웹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고 싶은데 그냥 DAO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사용하는 것도 안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DAO 클래스라는 것은 여러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사용하는 것보다 Singleton 패턴의 형식으로 한번의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여러번 재사용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성능상 유리합니다. 왜냐하면 인스턴스 생성(new)하는 것이..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6. 23.
  • [Java] 50. JPA 프로젝트에서 DAO 클래스 작성하기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JPA 프로젝트에서 DAO 클래스 작성하기에 대한 글입니다. 이전 글까지 JPA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JPA를 실제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사용할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JPA 프레임워크에서 transaction 공통 함수를 작성하고 그대로 웹 프로젝트(Servlet이나 Spring 프레임워크)의 Controller에서 사용해도 문제는 없습니다. 예를 들면 Controller의 요청이 올 때, 해당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취득하고 그 데이터를 Entity 클래스에 넣어서 클라이언트(브라우져)에 응답해도 됩니다. 그러나 실무에서 웹 프로젝트를 작성할 때는 몇가지 룰이 있습니다. 먼저, 웹 요청이 올 때는 해당 요청에서 사용될 데이터베..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6. 22.
  • [Java] 49. JPA에서 트랜잭션(transaction) 다루기와 공통 함수 만들기(옵서버 패턴)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JPA에서 트랜잭션(transaction) 다루기와 공통 함수 만들기(옵서버 패턴)에 대한 글입니다.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데이터베이스에서 논리적 상태 변화, 즉 Insert, Update, Delete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가 변화가 있는 것을 트랜잭션(transaction)이라고 합니다. 그런 의미로 데이터의 변화가 많은 테이블을 트랜잭션(Transaction)테이블이라고 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마스터(Master)테이블이라고 합니다. 이런 트랜잭션은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데 범위 설정을 통해서 원자성(Atomicity), 일관성(Consistency), 독립성(Isolation), 영구성(Durability)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좀 쉽게 이야기해서..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6. 21.
  • [Java] 48. JPA에서 Query를 사용하는 방법(JPQL 쿼리 사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JPA에서 Query를 사용하는 방법(JPQL 쿼리 사용법)에 대한 글입니다. JPA에서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취득하는 방법은 Entity에 선언되어 있는 NameQuery를 통해 데이터를 취득합니다. 그리고 하위 레퍼런스의 Join된 데이터를 얻으려면 취득한 데이터에 List의 함수 get, size 함수를 통해서 읽어옵니다.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Optional;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Factory;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Transaction; import javax.p..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6. 17.
  • [Java] 47. JPA의 Entity 클래스의 레퍼런스 설정(cascade, fetch)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JPA의 Entity 클래스의 레퍼런스 설정(cascade, fetch)에 대한 글입니다. 이전 글에서 IDE툴(eclipse)에서 JPA의 Entity를 자동 생성해서 기본적으로 다시 설정해야 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링크 - [Java] 46. JPA의 Entity 클래스의 기본 설정(@GeneratedValue, @ManyToMany) 기본적인 설정으로는 프로젝트에서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습니다만, 성능을 위해서 좀 더 수정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전 테이블에서 user 테이블을 검색해서 info 테이블의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기본적인 설정으로는 user의 하위 info 데이터가 없습니다.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6. 16.
  • [Java] 46. JPA의 Entity 클래스의 기본 설정(@GeneratedValue, @ManyToMany)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JPA의 Entity 클래스의 기본 설정(@GeneratedValue, @ManyToMany)에 대한 글입니다. 이전 글에서 JPA를 기본적으로 설정하는 방법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했었습니다. 링크 - [Java] 45. JPA 설정하는 방법 JPA ORM의 구성은 일단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을 생성하면 IDE(eclipse)를 통해서 테이블 구조를 가져와서 자동으로 Entity 클래스를 생성합니다. 그런데 이게 eclipse의 버그인지 아니면 JPA 사양상 생성할 때 기본적인 설정만 하고 나머지는 유저가 설정해야 하는 건지는 모르겠으나 class 생성이 완벽하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면 기본키를 설정하고 auto_increment 값에 대해서도 설정을 따로 해야하고..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6. 14.
  • [Java] 45. JPA 설정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JPA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Java 프로그램 중에서 데이터 베이스와 연결관리 해주는 프레임워크가 있습니다.이 프레임워크를 우리는 ORM(Object-relational mapping)이라고 합니다. 예전, ORM 프레임워크가 없었을 때(?), 사용 빈도가 낮았을 때는 프로그램에서 직접 SQL Connection을 만들어서 소스에 직접 sql query를 작성해서 데이터 베이스로 부터 데이터를 취득했었습니다. 이럴 때, 여러 문제점이 있는데 만약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이 변경이 되었을 경우, Sql query가 String 형식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프로그램에서 컴파일 에러가 나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각 sql 수정을 하여야 했었는데 큰 프로젝트라고 생각하면 수정.. 공감수 3 댓글수 0 2021. 6. 11.
  • [Java] 44. Web Spring framework의 view에서 사용하는 언어(JSTL) - XML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Web Spring framework의 view에서 사용하는 언어(JSTL) - XML에 대한 글입니다. 이전 글에서 JSTL 언어의 코어, 포멧팅, 함수, 데이터베이스에 관해서 설명했습니다. XML처리는 html 파일에서 다른 xml 파일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최근에는 ajax나 방식으로 json타입의 데이터를 통신하는 방법을 더 자주 사용하고 그의 관한 라이브러리도 많고 사용면에서도 훨씬 편하기 때문에 이 xml 파일을 자주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지역화(Localization)나 메시지 데이터 취득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니 알아두는 편이 좋습니다. XML 라이브러리 먼저 XML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pom.xml에 라..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6. 10.
  • [Java] 43. Web Spring framework의 view에서 사용하는 언어(JSTL) - 함수, 데이터베이스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Web Spring framework의 view에서 사용하는 언어(JSTL) - 함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글입니다. 이전 글에서 JSTL 언어의 코어와 포멧팅 라이브러리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코어는 JSTL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이고 포멧팅도 최근에는 moment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가 있어서 예전만큼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자주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중에 하나입니다. 여기서 사용하는 함수 라이브러리는 문자에 관한 라이브러리입니다만 보통 문자 처리에 관해서는 JSP 파일에서 처리하는 것보다는 보통 서버쪽, Controller 측에서 처리한 후 결과만 보여주는 것이 보통입니다. 물론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도 JSP 파일에서 처리하기 보다는 Controller..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6. 9.
  • [Java] 42. Web Spring framework의 view에서 사용하는 언어(JSTL) - 코어, 포멧팅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Web Spring framework의 view에서 사용하는 언어(JSTL) - 코어, 포멧팅에 대한 글입니다. 먼저 JSTL은 JSP Standard Tag Library의 약어로서 JSP 웹 페이지에 사용되는 태그 형식의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이 언어는 Spring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예전의 Servlet이나 Struts(스트럿츠) 프레임 워크에서도 사용되었습니다. 이게 예전에 개발자와 웹 디자이너의 업무를 분담하던 당시에 웹 디자이너들이 프로그램 언어가 익숙하지는 않고 배우기 힘들다고 해서 사용된 디자이너 전용 언어라는 속설(?)이 있었습니다. 솔직히 이게 진짜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확실히 Java 프로그래밍 언어보다는 쉽고 간단한 언어인 것은 확실.. 공감수 1 댓글수 0 2021. 6. 7.
  • [Java] 41. Web Spring framework의 Controller에서 ajax의 요청시 json을 반환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Web Spring framework의 Controller에서 ajax의 요청시 json을 반환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이전 글에서 Web Spring에서 Controller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link - [Java] 40. Web Spring framework에서 Controller를 다루는 방법 Controller이란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이 오면 실행되는 함수를 찾아서 실행하여 다시 웹 브라우저로 응답하는 역할까지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Controller 메서드는 기본적으로 String 값을 리턴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 String값은 view 파일명을 탐색하기 위해 작성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ajax로 웹 페이지의 html의 데.. 공감수 2 댓글수 0 2021. 6. 4.
  • [Java] 40. Web Spring framework에서 Controller를 다루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Web Spring framework에서 Controller를 다루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이전에 웹 서비스를 Spring framework를 이용해서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link - [Java] 39. Spring web framework를 이용해서 웹 서비스 프로젝트를 만드는 법 Controller란 클라이언트(Browser)에서 요청이 오면 호스트를 뺀 주소값을 파싱해서 해당 메소드를 호출하는 기능입니다. 이 주소 값으로 파싱하여 메소드를 호출할 때, 가장 쉬운 방법으로는 각각의 페이지마다 메소드를 호출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지만, 그외에도 복수의 페이지나 정규식으로 호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또는 호출되는 헤더의 정보에 따라, 파라.. 공감수 3 댓글수 0 2021. 6. 3.
  • [Java] 39. Spring web framework를 이용해서 웹 서비스 프로젝트를 만드는 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Spring web framework를 이용해서 웹 서비스 프로젝트를 만드는 법에 대한 글입니다. 이전 글에서 Java의 Servlet를 이용해서 웹서비스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link - [Java] 38. Java에서 웹 서비스 프로젝트(JSP Servlet)를 작성하는 방법 JSP Servlet이라는 것은 먼저 Java에서 웹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플렛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서버와 클라이언트(Browser)간의 소켓 통신으로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웹 서비스를 따로 구축할 필요없이 Servlet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통신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플렛폼입니다. 라이브러리와 플렛폼의 차이는 라이브러리는 여러가지 규약과 API를.. 공감수 2 댓글수 0 2021. 6. 2.
  • [Java] 38. Java에서 웹 서비스 프로젝트(JSP Servlet)를 작성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Java에서 웹 서비스 프로젝트(JSP servlet)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웹이라는 프로그램은 Server(Web server)와 client(Browser)간의 정해진 표준 규약으로 소켓 통신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client(Browser)에서 url 주소 포함 경로와 ParamString(주소줄에 ?뒤에 적혀있는 일련의 값들)과 기본적인 http 해더와 요청 값을 작성하여 Server에 요청을 하게되면 해당 값을 계산하여 응답하고 접속을 끊는 규약을 우리는 웹 서비스라고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웹 서비스 서버를 만들기 하기 위해서는 웹으로부터 오는 값을 해석을 해야하고 그 값에 맞게 응답 헤더와 data값을 작성해야 합니다. 그것을.. 공감수 5 댓글수 0 2021. 5. 31.
  • [Java] 37. 이클립스(eclipse)에서 톰켓을 설정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이클립스(eclipse)에서 톰켓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웹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WAS(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톰켓을 먼저 설치해야 합니다. 그런 후에 개발 툴(IDE-eclipse)에 톰캣을 설정하고 개발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럼 톰켓 홈페이지에 가서 톰켓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링크 - https://tomcat.apache.org/download-80.cgi 톰켓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zip파일로 압축을 해제해서 설정하는 방법이 있고 window installer를 이용해서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window installer로 설치할 경우, 인스톨러에서 서비스에 등록도 해주고 윈도우가 시작할 때 자동으로 서버를 기동해 주는 것까지 설정해 ..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6. 18.
  • [Java] 36. 코딩할 때 자주 사용되는 패턴과 스탭 줄이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Java에서 코딩할 때, 자주 사용되는 코딩 패턴과 스탭 줄이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이전에 제가 자바 코딩 표준 규약을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링크 - [Java] 35. 코딩 스타일 설정(Google Standard coding style) 프로그램 프로젝트를 설계하다보면 코딩 규약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에 대한 디자인 패턴 적용과 스탭을 줄이기 위한 알고리즘을 사용하게 됩니다. 디자인 패턴 적용과 알고리즘의 설명은 따로 카테고리를 만들어서 설명하고 디자인 패턴이라고 하기에는 간단한 패턴이고 알고리즘이라고 하기에는 하나의 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을 소개할까 합니다. 클래스를 만들 때 인터페이스, 추상 클래스를 활용하기 Java에서는 일반 인터페이스와 다르.. 공감수 4 댓글수 0 2020. 6. 17.
  • [Java] 35. 코딩 스타일 설정(Google Standard coding style)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Java에서 코딩 규약 설정(Google Standard coding style)에 대한 글입니다. 프로그램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여러가지 룰과 규칙을 만들어야 할 때가 많습니다. 프로젝트를 혼자 진행하고 운영하다 보면 상관없을 지 모르겠지만, 프로그램 프로젝트는 혼자하는 경우는 적기 때문에 여러 사람들간에 코딩 룰을 정하는 게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변수명을 「abcde」라고 작성하면 작성한 사람은 무슨 변수일 지 알 수 있을 지 모르겠지만 다른 사람이 보면 참조 추적을 하지 않는 이상 변수의 의미를 알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avg」라는 변수명을 사용하면 정확히는 모르지만 대충 평균에 관한 변수구나 정도는 인식할 수 있습니다. 즉, 코딩 규약은 .. 공감수 5 댓글수 0 2020. 6. 16.
  • [Java] 34.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명월입니다. 이 글은 Java에서 데이터 베이스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한 글입니다. 우리가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프로그램을 작성하면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 탐색하는 시스템으로 아마 데이터 베이스를 가장 많이 사용할 꺼라 생각됩니다. 데이터 베이스 종류만 해도 엄청나게 많은데 대표적으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인 오라클(oracle), Sql server(MS-SQL), Mysql(MariaDB), Postgres ....등이 있습니다. 여기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건 역시 오라클, Sql server이고 무료로는 MariaDB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럼 Java에서 데이터 베이스를 접속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저는 무료 DB인 MariaDB를 사용하여 예제를 작.. 공감수 1 댓글수 0 2020. 6. 12.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